home

이달의 논문

Clinical Evaluation of an Innovative CaHA Bio-Stimulator in Facial Rejuvenation-1 Year Follow-Up Journal of Cosmetic Dermatology (2025) May;24(5)

연구 제목

STIIM (CaHA-based bio-stimulator) 제품을 활용한 안면 미용 개선 효과를 1년간 추적한 안전성·유효성 평가

연구배경 및 목적

피부 노화는 주름, 탄력 저하, 피부 처짐, 거친 피부결 등으로 나타나며, 이는 표피, 진피, 피하조직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발생한다. 특히 진피의 위축과 콜라겐 생성 감소는 피부 탄력성과 구조를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 가운데 칼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Calcium Hydroxylapatite; CaHA)는 콜라겐 생성을 자극해 피부 구조를 개선하는 대표적인 bio-stimulator로, 그 안전성과 유효성이 다수의 임상연구를 통해 입증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CaHA 기반 기술을 적용한 새로운 제품인 STIIM의 임상적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안면 노화로 인한 피부 탄력 저하를 개선하고자, 총 32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CaHA 기반 bio-stimulator를 적용한 시술의 임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술 효과는 시술 전과 시술 후 120일 및 360일 시점에서 Global Aesthetic Improvement Scale(GAIS), 환자 만족도, 안면 피부 처짐 척도 (Facial Laxity Scale)을 통해 임상적으로 평가하였다. 이와 함께, 일부 환자에 대해서는 2D·3D 사진 촬영 및 고주파 초음파를 활용하여 진피 및 표피 두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시술 직후부터 360일까지 이상반응 여부를 추적하여 안전성 평가도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

시술 120일 후, GAIS 평가 결과 85%의 환자가 개선을 보고했으며, 360일 후에도 75%가 여전히 긍정적인 개선을 보고하였다. 안면 피부 처짐 척도 (Facial Laxity Scale)에서는 71.43%의 환자에서 탄력 개선이 확인되었고, 평균 개선 폭은 1.6점이었다. 환자 만족도 조사에서는 시술 전 불만족 비율이 78%였던 반면, 시술 120일 후에는 만족 이상이 85%로 증가하였고, 360일 후에도 56%가 만족 이상으로 평가하였다. 초음파 평가에서는 진피/표피 두께가 평균 51% 증가하였으며, STIIM 입자는 피하조직 내에 균일하게 분포하였다. 이상반응은 멍, 압통, 경미한 부종 등 경미한 반응에 국한되었고, 모두 15일 이내에 회복되었으며 중대한 이상반응은 없었다.

결론

STIIM은 안면 노화 개선을 위해 적용 시 피부 탄력도 향상, 진피 두께 증가, 환자 만족도 개선, 이상반응 최소화를 통해 미용적 효과와 임상적 안전성을 동시에 가지는 효과적인 CaHA 기반 치료법이다.

Ref) Giseli Petrone, Caroline Leão, Danilo Morais, Eliza Ducati, Matheus Kasai, Renata Viana. Clinical evaluation of an innovative CaHA bio-stimulator in facial rejuvenation: 1 year follow-up. Journal of Cosmetic Dermatology (2025) May;24(5)

죄송합니다. 곧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확인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