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이달의 논문

Efficacy and safety of rhBMP/β-TCP in alveolar ridge preservation: a multicenter, randomized, open-label, comparative, investigator-blinded clinical trial MaxillofacPlastReconstr Surg. 2021;43: 1-14

연구 제목

치조능 보존에서 인간재조합 제 2형 골형성단백질(rhBMP-2)/β-TCP의 유효성과 안전성 : 다기관, 무작위 배정, 공개, 비교, 조사자 맹검 임상 연구

연구배경 및 목적

발치 후 치조골 흡수를 최소화하고 향후 수복에 알맞은 치조능의 부피와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치조능보존술(Alveolar ridge preservation; ARP)이 개발, 적용되고 있다. Hydroxyapatite(HA)와 함께 가장 널리 사용되는 동종골이식재 중 하나인 β-TCP는 생체 적합성, 생분해성, 골전도성으로 인해 구강 및 악안면 부위 골재생 등에 사용되어왔다.본 연구는 치조능 보존에서 β-TCP 와 rhBMP-2를 병용했을 때 유효성과 안전성을 비교 검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총 84명의 환자를 무작위 배정을 통해 시험군(n=41명), 대조군(n=43명)으로 나눴다. 발치를 진행한 이후 발치 부위에 시험군의 경우 β-TCP와 BMP-2를, 대조군의 경우 β-TCP만을 적용하였다. 적용시에는 흡수성 차단막을 함께 사용하였다. 수술 직후와 수술 12주 후 CT 이미지를 통한 치조골의 높이와 폭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이상반응 발생 여부 등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수술 12주 후 치조골 높이의 평균 변화(기준선 대비)는 시험군(-0.51±0.94mm)과 대조군(-1.50±1.26mm)로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001). 하지만 시험군의 감소 정도가 대조군 대비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p=0.0004). 수술 12주 후 치조골 폭의 평균 변화(기준선 대비) 정도의 경우,모든 발치 레벨(ESL)에서 시험군이 대조군 대비 유의하게 흡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75% ESL p=0.0152, 50% ESL p<0.0001, 25% ESL p<0.0001). 88명의 대상자 중 시험군2명, 대조군 7명 등 9명(10.23%)에게서 총 13건의 이식재 적용 후 이상반응이 관찰되었다. 대부분의 이상반응은 경증(11건)이었으며 대조군의1건을 제외하고는 모두 이식재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판별되었다. 이상반응 발생과 관련해 두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rhBMP/β-TCP 병용 이식은 발치환자에서 높은 치조골 보존 효과가 있는 동시에 안전한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Ref) JeongJoon Han, Ah Ryum Chang, JaemyungAhn, Seuggon Jung, Jongrak Hong, Hee-kyun Oh, Soon Jung Hwang.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2021;43: 1-14

죄송합니다. 곧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확인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