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목적
부분층 피부이식법은 광범위 전층 피부결손을 커버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 과정에서 미용학적, 기능적 결손이 초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무세포 동종진피 이식과 부분층 피부이식법을 흉터의 질적 평가를 통하여, 미용학적, 기능적 측면에서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연구방법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대퇴부 유리 피판술을 받은 환자 중에서 피부 공여부에 피부이식만 받은 환자(n=10)와 무세포 동종진피와 피부이식을 같이 받은 환자(n=20)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자가 부분층 피부이식은 1:1.5 메쉬로 0.008 - 0.010 인치 두께 피부로 시행하였다. 무세포 동종진피와 피부이식을 같이하는 경우에는 0.008 - 0.013 인치 두께의 메쉬된 무세포 동종진피를 같이 이식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음압창상치료를 실시하였으며, Continuous 모드 - 120 mmHg 압력을 적용하였다. 초기 평가항목으로 피부탈락율, 음압창상 치료기간, 실밥 제거까지 소요 기간, 완치 소요기간, 부작용 등을 조사하였고, 후기 평가항목으로 흉터의 질적평가 (Vascularity, Pigmentation, Pliability and Height)와 이식과 관련된 증상 (가려움, 통증 등)을 조사하였다. 흉터의 진단은 Vancouver Scar Scale 과 Patient and Observer Scar Assessment Scale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피부접힘은 흉터조직의 유연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VSS결과에서, vascularity subscore (p=0.003)와 total score (p=0.016) 항목이 피부이식군에서 무세포 동종진피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왔다. POSAS 결과에서는 (p=0.037), stiffness subscore (p=0.002)와 total score (p=0.017) 항목이 피부이식군에서 무세포 동종진피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왔다.
결론
무세포동종진피와 피부이식을 같이 시행하는 것은 객관적으로나 주관적 측면에서의 더 나은 흉터의 quality를 위한 방법이 될 수 있다.
Ref) Yoo Jung Lee, Myong Chul Park, Dong Ha Park, Hyung Min Hahn, Sue Min Kim, Il Jae Lee, Effectiveness of Acellular Dermal Matrix on Autologous Split-Thickness Skin Graft in Treatment of Deep Tissue Defect :Esthetic Subjective and Objective Evaluation. Aesth Plast Surg (2017) DOI 10.1007/s00266-017-08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