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이달의 논문

Inhibition mechanism of acellular dermal matrix on capsule formation in expander–implant breast reconstruction after postmastectomy radiotherapy Annals of Surgical Oncology 2018 Aug;25(8):2279-2287

연구 제목

유방절제술 후 방사선 치료 이후 조직확장기-보형물 기반 유방재건에서 피막형성에 대한 ADM의 억제 기작

연구배경 및 목적

구형구축은 조직확장기-영구보형물 유방재건의 가장 일반적인 부작용이다. 최근 임상 논문에서는 무세포 동종진피(acellular dermal matrix, ADM)를 유방보형물을 감싸기 위해 사용하였을 때 구형구축의 발생율이 감소한다고 보고하고 있지만 그 기전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확장기-영구보형물 유방재건에서 ADM이 어떻게 구형구축을 감소시키는지 알아보고, 방사선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와 방사선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에서 ADM에 의한 구형구축의 감소에 대한 세포학적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보형물 기반 2단계 즉시 유방재건을 받은 총 30명의 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고 그 중 15명은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이들 환자에서 조직확장기를 영구보형물로 교체하는 동안 subpectoral capsule과 ADM(CGcryoderm) capsule의 생검을 실시하였다. 생검 조직으로부터 캡슐의 두께, 조직면역학 염색(a-smooth muscle actin;a-SMA, vimentin, ​​CD31, F4/80(macrophage marker)​, a-SMA와 CD31의 중발현(coexpression)), 상대적 유전자 발현량(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1,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B)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의 submuscular capsule은 방사선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의 submuscular capsule 보다 두꺼웠으나, ADM capsule의 경우에는 방사선 치료 여부에 따른 두께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근섬유아세포, 섬유아세포, 혈관화정도, EndoMTa), 그리고 대식세포의 양은 submuscular capsule에 비하여 ADM capsule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EndoMT를 제외한 모든 항목이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의 submuscular capsule에서 방사선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의 submuscular capsule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ADM capsule의 경우에는 방사선 치료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a) EndoMT : endothelial–mesenchymaltransition (EndoMT) cells, 내피세포가 특성을 상실하고 중간엽화되는 세포를 의미하며, 이런 세포가 많아질 경우 섬유성 질환(fibrotic disease)을 초래할 수 있음.

결론

유방재건에 ADM의 사용은 capsule 조직의 근섬유아세포, 섬유아세포, 혈관화정도, EndoMT 를 감소시켰다. 또한, 조직 섬유화의 중요 조절인자인 대식세포 역시 감소시켰을 뿐만 아니라, TGFb-1과 PDGF-B 의 발현도 감소시켰다. 이 결과는 ADM의 구형구축 예방효과에 대한 기작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 근거를 제공 해 줄 수 있다.

Ref.) Il-Kug Kim, Seong Oh Park, Hak Chang, Ung Sik Jin.
Annals of Surgical Oncology. 2018 Aug;25(8):2279-2287

죄송합니다. 곧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확인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