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알파(대표 유현승)와 재료연구소(소장 김해두)는 8일 재료연구소에서 맞춤형 의료기기 제조를 위한 ‘바이오 세라믹 3D프린팅 공정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바이오 세라믹 3D프린팅 공정’은 재료연구소 윤희숙 박사팀이 국내 처음 개발한 기술로 다양한 세라믹 소재를 3D형상물로 제작할 수 있다.
바이오알파는 이 기술을 이용해 턱뼈, 안면골, 두개골의 결손 부위에 끼울 수 있는 맞춤형 세라믹 골대체재를 상용화할 계획이다. 그동안 턱뼈, 안면골, 두개골 결손 부위는 환자 개개인에게 맞는 형상 가공이 어려워 세라믹 소재를 적용하지 못했다.
바이오알파는 국내 합성 골대체재 전문기업이다. 뼈에 직접 결합할 수 있는 고강도 생체 활성 세라믹 원천소재(BGS-7)를 개발했고, 이를 척추 추간판(척추뼈 사이에 존재하는 원반 형태의 구조물) 대체재로 만들었다. 수년간 임상시험 끝에 식약처 의료기기 허가를 받아 판매하고 있다.
3D프린팅 기반 맞춤형 의료기기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각광 받고 있는 분야다. 국내에서도 이미 티타늄 같은 금속 소재를 일부를 임상에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뼈와 가장 친화적인 바이오 세라믹을 소재로 이용해 만든 3D프린팅 골 대체재는 아직 사례가 없다. 세계적으로도 시장 경쟁 초기 단계다.
윤희숙 박사는 “바이오 세라믹 소재는 화학•물리적으로 인체의 뼈와 유사해 뼈 기능을 가장 효율적으로 대체 또는 재생할 수 있다”며 “환자에 적용 시 수술 시간과 회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심미적 만족도도 높여 준다”고 설명했다.
유현승 바이오알파 사장은 “3D프린팅 기술을 적용하면 기존 정형화된 이식물과 달리 개별 환자의 수술 부위 형상, 곡률 및 사이즈 등을 고려한 맞춤 제작이 가능하다”며 “바이오 세라믹 3D프린팅 기술로 맞춤형 의료기기 시장을 선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유현승 바이오알파 대표(왼쪽)와 김해두 재료연구소장이 바이오 세라믹 3D프린팅 공정 기술 이전 조인 후 기념촬영했다.
3D프린팅 기술로 만든 환자 맞춤형 세라믹 골대체재가 나온다.